본문 바로가기
2. 심리학

임상의 실제- 분석상황 구성 요소 (6)

by 아미칩 2023. 3. 18.

| 행동화
어떠한 정신적인 내용을 말로 표현하지 못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기제를 말한다. 보다 과거에 행동화가 정신분석적으로 의미했던 것은 분석자가 분석가를 향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감정을 분석 상황 바깥에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분석자가 분석 가에게 부정적인 전이를 경험하고 있는데,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분석가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부정적인 투사를 하거나 문제상황을 만들어 갈등을 겪게 되는 식이다. 최근에는 행동화가 보다 포괄적 의미를 띠게 되었다. 강력한 두려움이나 불편한 상상, 트라우마로서의 기억들, 받아들일 수 없는 감정이나 소망이 불러일으키는 분안을 통제하려는 필요에 쫓겨 유발되는 행동을 묘사한다.

| 성화
어떠한 경험을 성적인 요소와 상태로 채우는 것이다. 많은 성적 행동과 환상들은 사실 방어적인 이유로 사용되어진다. 불안을 통제하거나 자존감을 확보하거나 수치심을 상쇄하고 내적인 무기력의 상태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를 띄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고용이나 공포, 압도적인 다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경험들을 성적홍분으로 바꾸어서 본래 경험들로부터 벗어나려는 것이다. 그러나 성인으로서의 삶에서 성화의 기제는 반드시 방의적이거나 부정적으로만 이해될 필요가 없다. 다만 그 맥락이나 결과가 파괴적이거나 중독성을 띨 경우는 분명히 치료와 도움을 필요로 한다.

| 해리
해리(dissociation)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야 할 정신적 내용과 경험적 내용 간에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개인의 특징이나 정체성이 일시적으로, 혹은 완전하게 변화되는 것까지 포괄한다. 적응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는 해리에서 매우 병리적인 해리상태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심리적으로 고통스러운 감정과 기억으로부터 방어하고 보호하려는 기제이며, 때로 위험에 대해 매우 자동반사적으로 반응이 일어난다. 멍해지거나 정신적으로 무감각해지는 경우, 심지어 자신의 몸 위로 스스로가 떠다니고 있는 듯한 경험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병리적으 로 패턴화되는 경우 해리성 인격장애(dlissociative presonality)를 형성한다. 해리된 자기의 부분들이 인격의 분리로까지 진행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해리는 트라우마에 대한 정상적 반응으로, 재난을 만나고 견딜 수 없는 고통과 공포에 맞닥뜨리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이른 시기부터 견디기 힘든 학대에 노출된 아이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습관적으로 해리되는 병리적 양상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차적 방어기제
| 정서의 고립
어떤 경험이 발생하고 인식할 때 정서적 측면을 고립시켜 제외하는 것이다. 마음의 고통스러운 상태를 처리하기 위해 감정이 인식되지 않도록 해버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정신적 무감각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경험 전체가 의식으로부터 제거되 지는 않지만 그 정서적 의미는 끊겨져버린다. 한 개인의 기본적 방어양상이 고립의 기제이고 생활의 패턴이 사고 중심적이며 감정을 낮게 평가한다면 성격의 구조는 강박적 양상이 된다.

| 지적 논리화
지적 논리화는 경험에서 오는 불안이나 긴장을 피하기 위해 직접 경험해 감정을 겪는 대신 사고와 지적활동을 위주로 하는 것이다. 정서적으로 강한 영향을 주는 상황에서 이성적으로 사 고할 수 있다는 것은 자아의 성숙과 강해짐을 필요로 하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이러한 방어가 지나치면 정서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지적기능만 사용하게 되어 전반적으로 정신이 경식되고 기계적인 건조함을 가지게 되며, 타인에게도 진실되거나 솔직하지 못한 인상을 주게 된다. 이 기제의 패턴화는 강박적인 성향으로 이어진다.

| 도덕적 논리화
어떤 경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덕적 의무와 정당성을 내세우고, 그 경험의 필연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분열의 보다 성숙한 유형이라 보기도 한다. 성숙한 방어기제에 포함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도덕적 분리화가 피학적 성격구조를 가진 사람들의 주된 방어양상이라는 것에서 유추해볼 수 있듯이 치료적 노력에도 쉽게 영향받지 않는 매우 완고한 기제다.

| 구획화
의식에서 혼란이나 죄책감, 수치심 등을 느끼지 않고도 상반되거나 갈등을 유발하는 내용들이 정신에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공존할 수 없는 생각들, 태도나 행동들이 한 개인의 의식 속에서 모순을 경험하지 않으면서 같이 존재하는 것이다. 병적인 구획화의 한 가지 예로서 매우 인도주의적이고 도덕적인 태도와 높은 사회적 위치를 가진 사람이 사적인 상황에서는 갈등 없이 하대나 성폭력을 행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 취소
어떤 태도나 행동을 통해 특정한 정서적 경험을 없애버리려는 시도와 그 무의식적 노력을 말한다. 마술적 생각과 전능적 통제가 관련된다. 보통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없애려는 의도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강박적으로 손을 씻으면서 무의식적으로는 죄책감을 지우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취소의 기제가 패턴화되면 충동적 성향을 형성하게 된다. 강박충동적이라고 할 때 강박적이라는 것은 생각의 양상을, 충동적이라는 것은 행동의 양상을 말한다.

| 자신에게로 돌리기
외부대상을 향하던 부정적 감정이나 태도를 방향을 돌려 자기를 향하게 하는 것이다. 예로서 아이들은 부모의 부정적이거나 폭력적인 태도를 경험하게 되면, 그와 연관된 이유를 자신에게로 돌려 자신이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부모가 그러는 것이라 고 생각한다. 자신이 모든 것을 의존하고 있는 대상이 나쁜 것보다는 자신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이 안정을 주며, 적어도 자신의 문제로 돌리는 한 자신만 바꾸면 문제가 해결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건강한 수준의 성인들도 어떤 문제를 만날 때, 타인의 잘못이 아니라 자신의 잘못에서 온다고 받아들임으로써 더 불편한 경험을 피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기제를 자동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우울적 성격과 피학적 성격에서 보여진다.

댓글